본문 바로가기

중국/중국알아보기

1. 중국의 역사와 국민 성

중국은 어떤 나라이며 그 땅에는 어떤 사람들이 살아왔는지 알아보기 

1. 중국 역시와 중국인의 성격

2. 중국 조선족의 역사

3. 중국 기독교 역사

4. 중국 종교법 

5. 중국 사회의 흐름

 

 

  

 

1. 중국의 일반적 이해

중국에 대한 일반적인 이해는 자칫 잘못하면 장님이 코끼리 만지기가 되기 쉽다. 내가 태어나 한동안 살았던 중국의 동북 삼성에 대한 이해가 중국의 모두 인양 잘 못 생각한 적이 있었다. 그러나 중국의 동서남북을 돌아보면서 중원의 넓고 큰 땅은 신비롭고 아름다운 자연으로 어우러져 있으며 그 속에다양한 민족과 문화가 조화를 이루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1) 역사
구약 이스라엘의 족장 아브라함 시대는 중국에 있어서는 선사 시대에 속한다. 중국의 역사는 전설적인 역사 시대와 사기에 나타난 역사 시대로 나눈다. 어느 학자의 말에 따르면 바벨탑 사건 이후 셈족의 한 무리가 동쪽으로 이주하다가 중국의 황하강 유역에 살기 시작하면서 문명의 꽃을 피우기 시작하였다고 한다. 그래서 그런지 중국의 상형 문자에는 성서적으로만 그 뜻을 풀 수 있는 신비한 문자들이 많이 있다. 또 중국 역사에 있어서 진시황 때까지는 하늘의 유일신을 섬겼고, 동물을 죽여서 그 피를 제단에 드림으로써 하늘의 신에게 제사를 드렸다. 진시황에 의해서 유일신 사상은 동서남북 네 개의 제단을 만들어 네 신에게 제사를 드리게 함으로써 다신 사상 체재로 바뀌기 시작했다. 지금 북경에는 황제가 하늘에 제사를 드리던 천단과 월단이 남아 있다.

 

전설적인 역사 시대를 요약하면; 천지개벽 뒤(대홍수, 노아 홍수와 비슷한 내용) 삼황(三皇) 시대와 오제(五帝) 시대를 지나 우(禹) 왕까지 원시 시대를 중국 24 통사에서는 170만 년이라 한다. 중국 역사에 있어서 요, 순 시대를 가장 이상적인 시대로 생각하고 있다.

 

역사 시대를 요약하면;

1. 고대 시대

 은(殷, 1700-1100)-황하 유역의 문명 발상
 주(周, 1100-221)- 공자, 맹자, 노자 출현
 진(秦, 221-207)-진시황이 춘추전국으로 혼란한 중국을 통일하다.
 한(漢 B. C. 207-220 A. D.)-불교가 들어와 왕성, 중국이 가장 자랑스럽게 여기는 왕조. 예수님의 지상 생애와 같은 시기,
               

2. 중세 시대
수(隨, 581-619)-삼국 분열시대를 통일, 수양 제는 3차에 걸친 고구려 침공하였지만 을지문덕 장군에게 패하고 국력이 쇠하여 망함.
당(唐, 618-907)-당시 세계에서 가장 뛰어난 문명국, 기독교의 일파 경교와 천주교 포교, 당 태종 고구려 침공
하여 연개소문 장군에게 패함.
송(宋, 960-1270) 이 시기에 경교는 핍박을 받으며 추방되어 몽골 족으로 피신. 천주교도 핍박받음.
원(元, 1271-1368) 몽고인 칭기즈칸(Genghis Khan, 成吉思汗)이 중국을 통일. 서 구라파까지 정복, 이 시기에 경고와 천주
교 왕성하게 활동.

 
3. 근대 시대
명(明, 1368-1644) - 주원장이 몽골 족을 중국에서 추방하고 한족(漢族)이 통치하는 국가를 세우면서 경교는 사라지고,
천주교가 왕성
청(淸, 1616-1912) - 동북의 만주족이 명 왕조를 멸망시키고 청 왕조를 수립, 청조 말인 1842년 아편 전쟁의 패배로 중국은
서구 제국주의자들의 발굽에 짓 밝히게 된다. 또 조선을 강탈한 일본 군국 주의자들의 총칼에 의하여 만주의 드넓은 땅을 빼앗기는 국치수난(國恥受難)을 당했다.

 

외세에 짓밟힌 중국

서양에 대해 완고하고 폐쇄적이던 중국은 세 차례의 전쟁과 세 차례의 조약을 맺으면서 중국 대륙은 서양 열강들의 발굽아래 짓밟히면서, 중원의 대국 중국은 반식민지로 전락하면서 대륙은 열강에게 무차별적인 침략과 수탈로 황제는 허수아비 같은 존재로 떨어져 굴욕의 수치를 당하게 된다.  

 

1. 아편 전쟁과 남경 조약 (1842. 8)

아편 전쟁의 배경 : 당시 산업혁명으로 많은 자본이 필요했던 영국은 중국과의 수입과 수출 역조현상을 해결하기 위하여 또한 Plassey 전투 이후 벵갈 지역을 장악했던 영국은 행정 비와 Maratha 왕국과의 전쟁 비용을 마련하기 위하여 인도의 벵갈에서 생산되는 아편이 무역 상인들에 의하여 중국에 무제한 밀수출 되었다. 나라와 백성을 생각하지 않고 개인의 이익만 찾는 부패한 청조 관리들의 도움으로 아편 밀수는 1775년부터 해마다 늘어났다. 이로 인해 중국은 많은 은을 영국에  지불하게 되면서 중국은 막대한 국고 손실을 가져왔고, 인민은 아편 중독에 빠지는 국가적인 재난에 시달리게 되었다.

 

▶ 플라시 전투 (1757.06)는 “7년 전쟁”으로 인도에서의 영토분쟁과 상업권 쟁탈전으로 벌어진 영국과 프랑스의 전쟁이다. 발단은 뱅갈 지역의 태수 daulah에게 비협조적인 영국 사람들을 칼카타에서 추방하자, 클라이브 장군이 이끄는 영국군이 콜카타로 진격하자, 태수는 자기에게 우호적이었던 프랑스군과 함께 이에 대항했다. 이 전투는 Bhagirathi 강 Plassey에서 일어나서 Olassey Battle이라고 부른다. 영국군은 3,000 명에 불과했으나, 프랑스와 벵갈 태수 군은 70,000명의 대군이었다. 그러나 영국군이 상대측 장교들을 대거 매수하여서 큰 병력 차이에도 불구하고 영국군이 승리했다.

 

▶ Maratha 왕국은 인도의 중부에 왕국으로 주변 세력들과 동맹하여 침략자 영국과 전쟁을 벌이고 있었다. 영국은 이 전쟁에 필요한 전쟁비용을 마련하기 위하여 중국에 아편을 밀수시켜 중국 사람들을 아편 중독자로 만들어 희생시키면서까지 영국은 전쟁 자금을 끌어 모으는데 열을 내고 있었다. Martha왕국이 망하므로 인도는 영국의 손아귀에 들어가게 되었다. 하나님을 믿는다는 영국 사람들이 인도의 역사에 길이 남을 큰 죄악을 저질렀다. 인간의 본성이 얼마나 악한지를 보여주고 있다. 하나님을 믿지 않는 섬나라 왜구(일본)나 게르만 민족의 나치나 다를 것이 무엇인가?

 

아편전쟁의 원인

도광황제(道光帝)는 나라의 경제적 파괴와 인민의 중독의 심각성을 들어 28명의 중신들에게 아편 사용금지에 대하여 그 가부를  물으니 엄금 론 자는 겨우 8명에 불과했다고 한다. 그만큼 국가경영자들이 이미 아편의 영향에 깊이 물들어 있었다. 황제는 호광총독(湖廣總督) 임칙서를 특명 전권 대사에 발탁하여 광주(광죠오 廣州)에 내려 보내어 아편문제를 처리하게 했다. 임칙서(林則徐)는 군사를 동원하여 서양 상인들의 아편을 몰수하여 광장에 쌓아 놓고 불태우니 이것이 곧 아편전쟁의 도화선이 되었다. 그리고 그는 영국 여왕에게 한 통의 편지를 보낸다. "하나님을 믿는 나라가 어찌 다른 나라사람을 아편 중독자가 되도록 할 수 있느냐"는 항의를 한다.

 

아편전쟁의 결과 

중국과 시비할 기회를 찾고 있던 영국은 손해 배상과 대 중국 무역을 안정시키는데 필요한 조건들을 획득할 기회로 이용하기로 했다. 1840년 6월 외상 Palmerstone은 즉시 Charles Elliot를 총사령관으로 임명하고 전함 48척과 4000명의 군인으로 편성된 원정군을 보내었다. 인도에서 온 증원 군 10000명과 합류한 영국군은 연전연승하여 2년간의 전쟁 끝에 청국이 패하게 되자 그 수습책으로 맺어진 굴욕의 불평등조약(Unequal treaty)이다

 

불평등조약(Unequal treaty)

이 조약으로 영국 측에는 엄청난 이득을 그리고 중국 측에는 가공할만한 결과를 가져왔다. 아편 전쟁에서 패한 청나라는 승자인 영국이 하자는 대로 굴욕의 불평등 조약을 맺게 된다. 아편 전쟁의 결과로 맺어진 불평등 조약은 1차 조약이다. 1842년 8월 29일, 난징 인근의 장강에 정박 중이던 영국 해군의 전열함 ‘콘월리스 호’ 함상에서  청나라의 전권대사로는 흠차대신 기영(耆英)과 이리포(伊里布)와 영국의 전권대사 헨리 포틴저와 맺은 조약의 내용은 아래와 같다.

 

남경 조약 (南京條約)

제1조. 영국과 청나라는 앞으로 영구히 평화와 우정을 누린다.
제2조. 청은 광동, 하문, 복주, 영파, 상해를 개항한다.
제3조. 청은 영국의 편의를 위해 홍콩을 제공하고, 홍콩은 영국의 법률에 따라 통치된다.
제4조. 청은 1839년에 몰수했던 아편의 대금과 이후 영국인들에게 가한 위협의 위자료로 6백만 달러를 배상한다.
제5조. 청은 공행을 폐지하고, 공행의 채무금 3백만 달러를 지불한다.
제6조. 청은 전쟁배상금으로 1200만 달러를 지불한다.
제7조. 청은 이상의 총 2100만 달러 중 6백만 달러는 즉시, 6백만 달러는 1843년까지, 5백만 달러는 1844년까지, 4백만 달러는 1845년까지 지불한다.
제8조. 청은 현재 중국 전역에 감금 중인 모든 영국인을 무조건 석방한다.
제9조. 청은 영국에 협조한 모든 중국인들을 일절 처벌하지 않는다.
제10조. 청은 개항한 5개 항에서 영국인들이 자유롭고 안전하게 생활하도록 보장하며, 공정하고 적절한 관세를 설정한다.(이 조약 속에는 선교의 자유와 아편거래의 자유도 함께 들어 있다)
제11조. 영국과 청의 고위관료들은 해당되는 직급에 맞게 대등하게 교류한다.
제12조. 이 조약 내용을 청국 황제가 승인하고, 최초의 배상금이 지불되는 즉시, 영국군은 남경과 대운하 지역에서 철수한다.

단 주산 열도의 주둔군은 조약 내용이 모두 이행될 때까지 주둔한다.
제13조. 이 조약문의 원본을 각자의 수도로 가져가 비준하고 교환하며, 그 사이에 그 복사 본은 원본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도광 22년(1842년) 7월 24일, 즉 영국 날짜로 1842년 8월 29일 강녕(남경의 옛 이름)의 영국 군함 콘윌러스 호 함상에서 양국 전권에 의해 조인되었다.

 

4. 현대 시대
중화민국(1919-1949) - 1919년 손문 선생이 이끄는 국민 혁명에 의하여 봉건 왕조 청나라를 마지막으로 끝내고 다시 한(漢)족이 통치하는 국민당의 민주 공화 정부가 수립되었다가, 1921년 중국 공산당도 설립된다.
중화 인민 공화국(1949.10.1-현재) -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나고 중국을 짓밟던 외세가 물러가자 모택동의 중국 공산당과 장개석의 국민당이 대륙의 주도권 다툼으로 중국은 내전에 휘말리게 된다. 이데올로기 투쟁에서 부정부패와 권력의 남용으로 국민의 신뢰를 잃은 국민당이 패하여 대만으로 물러가자 모택동이 영도하는 공산당이 대륙을 장악한 뒤 1949년 10월 1일 중화 인민 공화국이 수립된다.

 

2) 크기(面積)
국토 면적은 960만Km²로서 세계 지면의 6.5%를 차지하고 있으며 영토의 크기는 세계 3위이다. 미국 본토보다는 조금 크고, 캐나다와는 비슷하고, 한국보다는 96배나 큰 나라이다. 전 국토의 경작 율은 10%에 불과하며 인구의 90%가 북경을 중심으로 하는 전 국토의 1/6의 지역동부에 살고 있다. 국토의 길이는 남북이 5,500Km 그리고 동서가 5,200Km이다.

 

3) 땅의 생긴 모양(地形)                

 

남서쪽에는 열대 정글, 서쪽에는 히말라야산맥이 치솟아 있고, 북쪽에는 광대한 사막이 펼쳐져 있고, 동쪽에는 태평양에 접해 있어 온 사면이 천연적인 장벽으로 둘러싸여 있다. 인구 분포는 동북 지방, 북부, 남부 지방은 중국 땅의 1/3에 지나지 않지만 인구의 95%가 이곳에 살고 있다. 자연적으로 산업, 농업, 무역의 대부분도 이 지방에 분포되어 있다. 그리고 서북쪽 신강 지역, 북쪽 내 몽고 지역, 남서쪽 끝에 있는 티베트 고원과 남서 지역은 중국 전체 인구의 6% 정도가 차지하며 55여 소수 민족이 살고 있다. 중국에는 두 개의 큰 강이 북부와 남부를 가로질러 동해로 흐르며 중국의 젖줄의 역할을 해 주고 있다. 두 번째로 큰 강인 황하(黃河) 강은 북부를 가로질러 중국 동해 북부로 흘러들어 가고 있다. 이 강이 흐르는 동쪽의 북부 지방은 평야 지대로서 중국 문명이 발생한 곳으로 기름진 농업 지대로 중국의 문화적 중심지가 되어 오고 있었다. 이 지역에 중국의 수도 북경(北京)이 자리 잡고 있다. 제일 긴 강인 양자강(揚子江)은 해발 6,621m 서쪽 청장(靑藏) 고원을 발원지로 남부의 10 개성을 가로지르며 상해를 거처 동해로 흘러들어 가고 있다. 이 강의 길이는 6,300Km로 세계에서 네 번째 긴 강이다. 남부 지방은 따뜻한 기후와 적절한 강우량으로 중국에서 가장 풍요로운 농업 지대를 이루고 있다. 양자강은 쓰촨 성(四川省) 나무꾼들의 뗏목으로 유명하다. 양자강 상류에는 목재 생산량이 풍부하여 옛날에는 쓰촨 성 사람들은 뗏목을 만들어 5,000Km가 넘는 상해까지 와서 팔면서 살아가고 있었다. 이 대 장정을 떠날 때 뗏목 위에 움막을 짓고 조그만 채소밭에  병아리와 오리 그리고 심지어 돼지우리도 갖추기도 했다고 한다. 항해 도중 태풍을 만나면 대피하고 병이 나기라도 하면 쉬면서 가는데 23년이 걸렸다. 가는 동안 아기가 태어나고 도착할 때는 아기가 걸음마를 했다고 한다. 이렇게 해서 상해에 와서 나무를 팔고 육로로 고향까지 가는 돌아가는 데도 다시 23년이 걸렸다고 한다.

 

4) 인구
중국의 인구는 1996년 2월 15일 북경 인민 대 회당에서 12억 인구의 날”을 기념하는 축제를 가졌다. 20년 뒤인 2016년에는 14 억을 훨씬 넘고 있다.
중국의 인구는 세계 인구의 21.9%를 차지하고 있다. 중국 정부는 1984년부터 ‘아이 하나만 낳기’ 정책을 펴면서 2,000년대까지 전체 인구가 12억을 넘지 않도록  한 인구 억제 정책의 한계를 넘어서고 있다. 그러나 인구 천만 이하의 소수 민족에게는 이러한 규제를 하지 않으므로 한 가정에 자녀를 2-3까지 가질 수 있는 특혜를 누리고 있다. 이러한 규정을 어길 때는 벌금을 물리고 여러 가지 행정적인 제재를 가하고 있다. 아들을 선호하는 가정에서는 첫 딸을 낳으면 출생 신고를 하지 않는다. 아들을 낳으면 그때에야 출생 신고를 한다. 그 결과로 지금 중국에는 무적 아이들이 인구의 약 10% 정도 이상으로 추산되는 유랑민들로 인하여 인구 통계의 신빙성이 문제시되고 있다고 하며, (3.23, 1995, 신화사 통신) 이 유랑민들은 호적이 없으므로 교육을 받지 못한 문맹자들로서 사회의 문제아가 되고 있다. 그래서 중국의 실제 인구는 정확히 모른다고 할 수 있다. ‘아이 하나만 낳기’ 운동 뒤로 생기는 사회 문제는 아이를 하나만 갖게 됨으로써 과잉보호하며 키운 탓에 아이들이 버릇이 없어 이기주의 적이 되어 가고 있어서 중국의 장래를 기성세대들은 염려하고 있다. 소수 민족인 동포 가정을 방문하여 보면 대개 두 자녀를 둔 가정의 경우 첫째 아이와 둘째 아이의 나이 터울이 5년씩이나 된다는 공통점을 발견하게 된다. 소수 민족은 자녀를 두셋 까지 가질 수가 있는데 조건은 첫째 아이가 5살이 될 때 둘째 아이를 가질 수 있게 한 것이다. 그러나 이것도 옛날이야기이고 지금은 모든 소수 민족에게도 하나 갖기 정책에 따르도록 계몽하고 있다. 그러나 돈이 있는 사람에게는 이런 정책에 얽매일 필요가 없게 된다. 건축업을 하는 한 중국인은 예쁜 딸 넷을 데리고 있는데 세 딸을 위하여 12,000元의 벌금을 물고 아이들을 합법적으로 키우고 있지만 가난하고 무지한 서민들은 무책임하게 방치함으로써 아이들의 운명을 불행하게 하고 있는 실정이다. 중국은 1979년 한 가정 한 자녀 낳기의 산아제한을 시행해 오다가 1997년이 지나면서 산업지역에서는 젊은 노동 인구의 부족으로 인한 사회적 문제가 생기기 시작하자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정부에서는 자녀 더 낳기를 장려하지, 젊은 세대는 아이를 낳을 테니 교육을 책임지라고 요구하면서 별 호응을 하지 않았다. 드디어 2015년 이르라 중국 정부는 모든 가정이 두 자녀를 낳도록 허용하는 정책을 펴지만 젊은 세대들이 아직 크게 호응하고 있지 않는 편이다. 현재 인구는 14억 가까이 이르고 있다. 인구 구성 비율은 한족(漢族)이 91.96%이며 소수 민족이 8.04%이다. 중국에는 55개의 소수민족이 있는데 그중에 조선족은 11번째로 큰 소수민족이다.

 

5) 말과 글(言語) 
중국은 같은 글자를 쓰면서도 서로 알아들을 수 없는 54개의 지방어와 55개의 소수민족의 전통적인 언어를 가지고 있어서 100여 개의 언어가 있는 편이다. 옛날 과거를 보고 장원 급제한 선비들을 황제가 만나지만 글로는 통하지만 말은 통하지 않았다고 한다. 중국의 표준어는 만다린(Mandarin)인데 동북 삼성과 북경 지방에서 쓰고 있는 말이다. 실제로 북경 말보다는 동북 삼성, 그 가운데서도 흑룡강성 하얼빈을 중심으로 하는 말이 발음이 똑똑하고 듣기에 편한데 비해, 북경 말은 목에서 나오는 후두음(Guttural)이 센(강한) 말투이다.
북경 사람들은 중원의 서울(大都)이라는 자존심 때문에 자기네 말이 중국의 표준어라고 우긴다. 중국에서는 표준어란 단어를 쓰지 않고 보통 어라고 한다. 왜냐하면 북경 어와 지방 어 그리고 소수민족 언어를 비교하는 차별적인 인상을 주지 않으려는 배려이기는 한데, 사실은 눈 감고 아웅 하는 것이다. 또 열차의 예를 보면, 차 자리도 침대차에 1등 2등 하지 않고, 1등은 폭신(软 /ruǎn)한 자리 침대, 2등은 딱딱(硬 /yìng)한 자리 침대로 표현한다. 중국은 차별이 없고 평등하다는 것을 애써 나타내려고 노력하고 있지만, 실제는 그렇지 않다.  지금은 현실화되어서 고속 등 열차  종류에 따라 침대와 자리의 종류도 여러 가지가 있다. 

 

6) 정치
  중국은 공산당이 다스리는 나라로 중국 헌법에 따르면 국민 대의원(국회의원)의 52%는 공산당이 자동으로 차지하고 나머지 48%를 비 공산당계 정치 집단에 나누어 주게 되어 있다. 국가의 모든 정책은 7인으로 구성된 공산당 중앙 정치 위원회에서 결정하고 인민 대회(국회)에서 동의를 받는다. 모든 행정 기관과 사업 단위에 배치된 당위 서기는 한 기관의 장보다 한자리 위에 있는 정치 지도자로서 인사권을 독점하고 있으며 중앙당 정치국과 직계 되어 있는 최고 실권자이다. 크고 작은 55개의 소수 민족들이 집단으로 모여 사는 곳은 인구의 비례에 따라 소수 민족의 자치구, 주 시, 현, 진, 향의 행정적인 자치권을 부여하여 스스로 경제적 발전을 하도록 돕고 있다. 그러나 소수 민족 행정장  위에는 거의 한족인 당 서기가 정치적으로 지도하고 있다. 현재 소수민족의 행정 자치 지역은 5개의 자치구(Autonomous Regions, 성 규모보다는 한 단계 낮은 준 성 정부), 30개의 자치 주(구보다는 작은), 현(县 군, Autonomous Prefectures) 그리고 12개의 진( 읍), 향( 면, Autonomous  Counties)이 있다. 현재 요령성에 3개의 자치 향이 있고 길림성에 연변 자치주, 장백 자치 현, 그리고 4개의 자치 향이 이으며, 흑룡강 성에는 1개의 자치 진과 6개 정도의 자치 향이 있는 정도이다. 그 가운데 연변 조선족 자치 주는 조선족의 중심인데, 인구가 빠르게 줄어들고 있어서 자치주로서 장래가 밝지 못하다.
조선족의 흩어짐은 자치의 주체가 되는 민족이 줄어들므로 해서 자치현 향들이 하나하나 없어지고 있는 형편이다. 소련은 소수 민족을 핍박하고 분산하여 민족 말살 정책을 썼으나, 중국은 복합 문화주의 나라로서 모든 소수 민족의 문화, 언어 등을 보호하는 우대 정책으로 소수 민족이 중국 사회에 통합될 수 있는 결정적인 역할을 해 왔다.

 

7) 종 교
중국 중앙 정부의 기구의 하나인 통전부 밑에 소수민족과 종교를 다루는 종교 국은 말단 행정부서에 이르기까지 종교 담당 부서를 두어서 소수민족과 종교 활동을 감시 통제하고 있다. 중국 정부가 법적으로 허용하는 종교는 기독교, 불교, 유교, 도교, 모슬렘이며, 중남부에 있는 유대인들의 회당은 별도로 허용하고 있다. 중국 사람들은 기독교는 양교라고 하여 좋아하지 않지만 불교는 자기네 토착 종교 같이 여기며 친밀감을 가지고 있다. 또 내세 지향적이며 재림 사상에서 오는 반동적인 정치성에 민감한 그들은 교회에서 재림과 부활에 대한 설교를 금하기도 했다. 그러나 기복적인 사상을 가진 중국인들은 현세 지향적인 불교를 더 선호하고 있다. 97년 중국 신문에는 당 간부들이 미신을 숭상하는 일에 대하여 경고를 한 적이 있다. 하기는 모택동 주석도 불교를 선호해서 절을 찾았으며, 점쟁이를 가까이하고 있었다고 한다. 중국은 개방 후 온갖 미신과 종교들이 우후죽순같이 일어나 성행하고 있어서 사회주의 나라를 무색게 하고 있다.

 

8) 중국인의 국민성 
중화사상(中华思想) - 중국인들은 너무 완전하거나 지나치게 논리적인 것을 싫어한다. 중국인들은 상식을 중요하게 여기기 때문에 결국 사상에 있어 지나치게 과장된 이론이나 도덕에 있어 지나친 행동은 싫어한다. 이것의 자연스러운 결과가 중용(中庸) 사상이다. 절제를 중국말로 중화(中和)라고 하는데 극단에 치우치지 말고 조화를 이룬다는 뜻이다.  ‘서경’에 기록된 것을 보면 옛날 요 황제가 순 황제에게 왕위를 넘겨주며 한 충고는 ‘중용을 취하라’는 것이었다. 맹자가 당 황제를 가리켜 ‘중용을 취한 사람이라고’ 찬양했다. 그는 상반된 의견에 귀를 기울인 뒤, 양쪽의 의견을 각각 반씩 깎아서 그 중간의 것을 택했던 사람이다. 이처럼 중국인은 중용의 사상을 중요시했기 때문에 자기 나라를 중화(中華)라고 부르고 있다. 이것이 지리적으로 땅의 중앙에 있다는 관념뿐만 아니라 나아가 자신들이 택한 중용이라는 정상적이고도 인간적인 생활방식을 나타내는 동시에 온갖 철학의 가장 논리적인 진리를 찾아냈음을 뜻하는 것이다. 때때로 중화사상은 중국인의 자존심과 우월성을 뜻하기도 한다. 전형적인 중국인은 성실하고 한번 친구가 되면 영원한 친구로서 믿고 서로 돕는다. 중국인이 타인을 위하여 일해 주었을 경우 금액이 많고 적고 간에 자신의 손을 통과하는 금전 중의 약간의 비율의 돈을 자기의 주머니에 넣는 것을 일반적으로 인정된 습관으로 여긴다. 우리가 중국에서 일하면서 이러한 관례에 대한 경험을 여러 번 했다. 예를 들어 물건을 살 때 누가 중간에서 소개할 때 파는 사람은 중개자에게 줄 비용도 물건값에 붙여서 받아 준다. 이러한 일들은 우리의 중국 선교 일기에서 보게 될 것이다. 중국인의 인생관은 숙명적이어서 주어진 환경을 운명 철학으로 받아들이는 성향이 있다. 성공한 사람도 그 성공이 자신의 능력 때문이 아니라 행운이 따라 준 것이라고 믿는 것이다. 그래서 그런지 중국인은 福자를 좋아하고 재물의 신을 섬기기를 좋아하고 신년 인사는 항상 부귀를 비는 문구를 즐겨 쓴다.  즉 恭喜发财( gōng xǐ fā cái
) 人兴家兴财兴(rénxīng jiāxīng  cáixīng )등이다.

 

중국 사람의 몇 가지 성격

중국 문명의 특성을 진화와 정복보다는 저항과 인내로서 이루어진 것이라고 말한다. 수 천 년 동안 중국인은 전제 정치, 무정부 상태, 그리고 학정을 참고 견디며 살아온 정치, 사회, 그리고 문화적 영향 아래서 형성된 가장 나쁘면서도 뚜렷한 중국인 성격의 네 가지 특징은 "참을성, 무관심, 원만성, 자족감"이라고 한다. 

 

참을성(忍)

중국 사람에게 참을성이란 덕을 키워 주는 그곳은 대가족이다. 이곳에서는 배다른 형제, 자매들과 아버지와 아이들이 매일 참아 가면서 이 덕을 배운다. 한 개인을 위한 여유라는 것이 없는 대 가족 제도에서 어렸을 때부터 대인 관계에 있어서 서로 참고 조화를 이루는 것을 부모로부터 배우면서 저 깊고 느리며 매일 괴로움을 견디어 내는 효과를 가져오게 된다. 그래서 그런지 본인이 중국에서 경험하는 것은 몹시 추운 겨울 꽉 막힌 삼륜차의 좁은 공간에서 숨이 막힐 정도로 담배를 피워 대도, 어리굴젓 같은 가래침을 바닥에 계속 뱉어 대도 누구 하나 말리거나 불평하지 않는다. 소련 변경지역에 있는 동녕에서 학습을 하던 조선 형제들과 함께 훈둔(馄饨) 탕을 전문을 하는 조그만 식당에서 모두 비좁게 앉아서 음식을 먹는데 우리 일행이 앉은자리가 좁아서 몹시 불편하였다. 우리 옆에 이미 자리 잡고 있는 중국 사람들 중 한 사람의 자리를 조금만 앞으로 당겨 준다면 우리 일행이 함께 앉는데 편해질 텐데 아무도 조금만 자리를 옮겨 달라고 청하지 않은 채 비좁게 불편하게 앉아서 그 사람들이 떠나기만을 기다리고 있는 것 같았다.

▶ 훈둔(馄饨)-소고기를 속으로 작은 만두같이 모양 없이 만들어 한국의 만둣국 같이 끓여 먹는다. 국물이 시원하고 맛이 좋아서 중국에서 자주 먹었다.

 

그래서 조선 형제자매들에게 저 사람보고 자리를 조금만 앞으로 당겨 달라고 말하라고 부탁을 했더니 아무도 말하기를 원치 않는다. 왜 그러냐고 물었더니 비켜달라고 하면 싫은 소리를 한다고 말하기를 거리고 있었다. 그러자 내가 목단강에서 데리고 간 리쥔이라는 어린 여학생이 그 중국 사람을 툭 치면서 조금 비켜달라고 하니 두말없이 비켜주어서 우리는 편하게 되었다. 정신과 육체가 좀 불편하더라도 잠시만 참으면 된다는 참을성의 깊음을 가지고 사는 것을 흔하게 경험할 수 있었다. 특히 조선 사람들은 한족들에 대해 조심성이 있고 언어 문제도 있어서 인지 잘 나서지를 않고 있었다. 담력이 약하다는 것을 여러 면에서 보게 되었다. 당나라 장공예라는 재상은 구대가 한 지붕 아래서 살고 있어서 모두의 부러움을 사고 있었다. 한 번은 당나라 고종이 그렇게 조화를 이루고 사는 비결을 물었다. 장공예는 종이와 붓을 청하여 참을 인(忍) 자를 백번이나 썼다고 한다. 이 사실은 중국인들에게는 대 가족 제도에 대한 서글픈 표현으로 이야기가 되는 반면에 그의 경우를 부러워하여 ‘백번 참는다’는 말이 생겼다. 참을성은 중국 사회에서 생존을 위한 하나의 이유가 되기도 한다.

 

무관심(无关心)

중국인들이 참을성만으로 알려져 있는 것이 아니라 무관심으로도 널리 알려져 있다. 무관심은 개인에 대한 제도적이고 법적인 보호가 없기 때문에 생긴 사회적 태도로서 마치 거북이에게 딱딱한 등 껍데기가 생기게 된 것과 마찬 가지로 자기 보호의 한 형태라고 말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런 법적인 보호를 필요치 않는 비적이나 도적들이 가장 용감하고 공공심이 많은 사람들로 알려져 있다. 이런 사람들은 수호지에 많이 나오는데 중국인들이 동경하는 인물들이다. 강한 자들은 자신을 보호할 수 있으므로 공공심이 강하고, 민중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약자들은 자기를 보호할 방법이 없기 때문에 무관심해지는 것이다. 즉 남의 일에 참견하지 않고 보아도 못 본채 들어도 못 들은 채 하는 태도이다. 이런 성격은 한족들을 향한 종교 활동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한족에 비해 조선족은 남의 일에 관심이 많고 꼬장질(일러바치는)하는 일들로 피해를 본 한국 사람들도 제법 있었다. 우리도 누군가의 꼬장질로 두 번이나 경고를 받아본 적이 있다.

 

노회(老会, 원만성)

좋게 말해서 노회는 원만한 성품을 말한다. 노회의 성격은 세상을 많이 살았고 이해타산이 빠르며 쉽게 들뜨지 않고 진보에 대하여 회의를 갖는 태도를 말한다. 이 노회의 정신은 중국 문학, 시와 속담에서 여러 가지로 표현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졸을 잃으면 장기에 이긴다, 삼십육계 중 도망가는 것이 제일이다, 군자는 위험한 곳에 가지 않는다, 한 걸음 물러나 생각하라" 등 인생 문제에 관한 이러한 태도는 중국인의 사상 구조에 뿌리 깊이 박혀 있다. 모가 난 것이 없이 둥글둥글 원만한 성품을 갖게 되는 것이 중국 문화의 한 특질인 것이다. 유교의 인생관이 적극적인 것이라면 도교의 인생관은 소극적인 것이다. 이 두 가지 다른 요소가 합해서 나온 것이 중국인의 성격이다. 중국인들은 하나의 민족으로 본질적으로 정의에 입각해 법전을 만들어 낼 수 있는 역량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중국인들은 법정과 변호사를 신용하지 않는다. 법률적인 분쟁의 대부분은 법정 밖에서 거래로 해결되고 있는데, 지금 중국 법원의 판결, 즉 사형이나 무기는 징역형 같은 것은 돈으로 해결할 수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래서 그런지 몰라도 우리도 양로원을 하면서 선교 일을 할 때 좀 어려운 문제가 생기면 먼저 사람을 찾는 중국적 습관에 익숙해졌다. 나는 중국에 살면서 돈으로 죄의 값을 치르는 이러한 방법은 어디서부터 온 것인가 하는 의문을 오래 동안 가지고 있었는데, 나는 드디어 이러한 중국적 사고방식이 오래전 옛날부터 중국의 역사 속에서 흘러 내려오는 관습이란 것을 알게 되었다. 사마천의 사기에 보면 사마천이 죄를 입어 죽게 되었는데, 죄의 댓 가로 은 10만 냥을 물면 사면되는데 이만한 재물이 없던 그는 살아남아 사기를 쓰고자 궁형(宮刑, 남자의 생식기를 없애는 벌)을 청하여 벌을 받는다. 겨우 살아나서 중국 역사에 길이 남을 사기를 써서 남겼다.   

 

평화주의 - 참을성, 무관심, 노회의 세 성격은 중국인들로 하여금 단체 행동을 할 수 없도록 무력하게 만든 특징들이다. 중국인들은 고생에는 상당히 단련된 국민으로 매우 강인하다. 이들은 이 땅 위에서 모험이나 영웅적인 행동이나 개혁에 대한 열망 같은 성격은 보기 어려우며 그저 고난과 슬픔으로 가득 찬 이 땅 위에서 평화롭게 살기를 원할 따름이다. 그래서인지 그동안 중국 사람들은 자연(자연, 바다, 등)을 정복하는 모험이나 탐험을 즐겨하지 않는다. 현대에 와서 이러한 운동이 새 세대에 의해서 일어나고 있다.

 

자족감(自足感) - 중국을 여행하는 사람들은 중국인들의 생활수준이 매우 낮은데 놀라고, 그러한 환경 속에서도 여전히 즐거움을 느끼며 만족하게 사는데 놀라게 된다. 중국인을 가난하다거나 비참한 모습으로 보는 것은 서양적 기준에서 보는 편견이다. 중국인이 얼마나 비위생적이고 더럽게 살고 있는가를 비판한다. 그런데 그런 중국인이 더 오래 살고 있다. 중국인들은 ‘배부른 것이 제일이다’ 이것이 자족하는 것이며 나머지는 모두가 인생의 사치에 지나지 않는다고 한다. 그래서 자족 한 사람은 언제나 행복하다(知足者富)고 표현한다. 임어당 박사가 분석한 자기 민족의 성격은 전통적인 것이며 개방과 세계 문화와 IT기술의 발전에 따라 많이 변화되고 있으며, 동서남북에 따라 그 성격도 다양하다. 전통적으로 중국인들을 느리다고 "만만디, 慢慢的"라고 불렀지만, 지금은 빨리빨리 "快快'로 바꾸어지고 있다.    

임어당 박사(林语堂, Lin Yutang 1895-1976)-중국의 소설가 문학비평가. 중국인의 국민성, 성격을 그가 쓴 ‘중국인’에서 잘 묘사하고 있다. 

김제화

 

 

'중국 > 중국알아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 조선족은 항일 독립 운동의 든든한 지원군  (0) 2020.05.15
중국의 조선족 역사  (0) 2016.10.11
중국의 기독교 역사(1)  (0) 2016.10.11
중국의 기독교 역사(2)  (0) 2016.10.11
중국의 종교 법  (0) 2016.1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