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국/중국알아보기

(7)
중국 조선족은 항일 독립 운동의 든든한 지원군 조선은 지도자를 잘 못 만나 탓으로 백성들이 고생을 많이 한 나라다. 1910년(경술년) 8월 29일 을사오적(乙巳五賊)으로 일컫는 자들인 매국노들에 의해서 나라를 일본 침략자들의 손에 넘겨줘서 우리 민족이 하루아침에 일본의 식민통치를 받는 눈물겨운 민족이 되었다.  ▶ 을사오적(乙巳五賊)이란 1905년 11월 17일 대한제국을 일본에 팔아먹는 일에 찬성한 다섯 명의 반역자, 매국노를 일컫는 말이다.  을사오적 : 학부대신 이완용, 군부대신 이근택, 내부대신 이지용, 외부대신 박제순, 농상공부대신 권중현 1910년 대한이라는 나라는 망했지만, 민족이 망한 것은 아니었다. 민족이 살아있다는 것은 희망이 있다는 것이다. 안에서 잃은 것을 밖에서 찾자는 심정으로 찾은 간 곳이 청나라 만주와 소련의 연해주였다...
1. 중국의 역사와 국민 성 중국은 어떤 나라이며 그 땅에는 어떤 사람들이 살아왔는지 알아보기 1. 중국 역시와 중국인의 성격 2. 중국 조선족의 역사3. 중국 기독교 역사4. 중국 종교법 5. 중국 사회의 흐름      1. 중국의 일반적 이해중국에 대한 일반적인 이해는 자칫 잘못하면 장님이 코끼리 만지기가 되기 쉽다. 내가 태어나 한동안 살았던 중국의 동북 삼성에 대한 이해가 중국의 모두 인양 잘 못 생각한 적이 있었다. 그러나 중국의 동서남북을 돌아보면서 중원의 넓고 큰 땅은 신비롭고 아름다운 자연으로 어우러져 있으며 그 속에는 다양한 민족과 문화가 조화를 이루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1) 역사구약 이스라엘의 족장 아브라함 시대는 중국에 있어서는 선사 시대에 속한다. 중국의 역사는 전설적인 역사 시대와 사기에 나타난 역사..
중국의 조선족 역사 1. 조선족의 중국 동북 이주의 역사적인 배경 중국 동북 삼성은 길림성, 요령성, 흑룡강성을 말하며, 그 옛날 고구려에 속했던 땅으로 한 때 중국을 지배했던 금, 청제국의 만주족(여진족, 오랑캐)이 살던 곳으로 이차 세계 대전 이전에는 만주라고 부르던 곳이다. 1949년 중화 인민 공화국 공산 정권이 들어서면서 만주는 세 개의 성(길림, 요영, 흑룡강)으로 나누어졌다. 역사적으로 함경도, 평안도에 거하던 조선인들이 고조선, 고구려, 고려 시대 때에 끊임없이 이 지역으로 이주하여 살았지만 그 후손들의 명맥을 이어오고 있는 흔적은 찾아볼 수 없다. 대개 그 시대 사람들은 고향으로 돌아갔거나 만족, 한족, 몽고족으로 동화된 것으로 보고 있다. 현재 동북에 있는 조선인들의 조상들은 주로 세 가지 경로를 통해서 ..
중국의 기독교 역사(1) 반세기 만에 죽의 장막이 열리면서 숨겨져 있던 실체가 드러나게 되었다. 유토피아를 건설한다던 사회주의 모습은 헐벗고 병든 나약한 모습으로 세계를 향해 동정의 손짓을 하게 되었다. 반세기 동안 붉은 사상의 교육은 중국 모든 사람들을 붉게 물들이지 못한 체 울긋불긋한 미완성의 작품으로 끝나고 말았다. 이제는 각자가 원하는 데로 자기를 완성해 가야 하는, 즉 자기가 있는 시대가 되었다. 중국 속담에 “한 목표를 향한 세 갈래 길이 있다”는 말이 있다. 지금 중국은 오천 년 역사의 유산인 전통문화와 반세기 동안에 만들어진 사회주의 문화 그리고 밖에서 밀려오는 외세 문화의 영향을 받으면서 중국 특유의 종합된 문화를 형성해 가고 있다. 이제 우리는 지난 13세기 동안에 중국 복음화에 전력을 다한 선구자들(경교, 천..
중국의 기독교 역사(2)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중국의 종교 법 중국의 종교현상과 발전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 가장 기본적 ‘전제’가 있는데 그것은 종교에 대한 중국정부의 기본적 원칙이 무엇인가를 아는 것이다. 중국 공산당은 기본적으로 마르크스 레닌주의의 유물론(唯物論, Materialism), 무신론(無神論)을 표방하고 있다. 유신론(有神論)적 세계관을 가진 종교는 공산주의 세계관과 대립되는 것이다. 그들은 종교를 ‘뒤바꾸어진 세계관’ 또는 ‘헛(虛) 그림자’라고 말한다. ”마르크스와 레닌의 말처럼 종교는 마약적인 성격을 가지며, 자산 계급 편에 서 있으며, 인민을 노예화하는 작용을 갖고 있으므로 반드시 소멸될 것이라고 확신하고 있는데, 사회주의 이념이 실천될 때 종교는 소멸된다는 것이다.”▶유물론 - 물질이 먼저이고 정신은 나중이라고 한다. 즉 만물의 궁극적 실제는..
개방 뒤 중국의 흐름 1. 사회의 흐름 터진 봇물이 걷잡을 수 없이 흘러가듯이 개방과 더불어 중국 사회가 걷잡을 수 없이 변화되어 가고 있다.  중국 사람들의 성격을 만만디(慢慢的, 느리다는 뜻)라고 하지만 경제성장과 유행은 동남아 어느 나라도 따라가지 못할 만큼 변화의 속도가 빨라지면서 콰이콰이(快快)로 바꾸어지고 있다. 개방 뒤 중국에서 유행되었던 말 중에는 "쌍치엔칸"이라는 말이 있다.  발음은 같으나 뜻이 다른 이 두 단어를 가지고 개방 앞 중국과 개방 뒤 중국을 풍자하고 있다.  쌍치엔칸(向前看)개방 전에는 인민들의 삶의 목표를 쌍치엔칸(向前看)에 두라고 했다. 즉 앞을 보고 나아가라는 것이다. 앞을 바라보는 그곳에는 공산주의의 이상인 계급의 차별이 없고 빈부의 차가 없이 다 잘 먹고 잘 사는 Utopia(지상천국)..